PHP

솔라리스 기초 (설치과정)

Bucket List 2005. 12. 24. 10:36
Part 2. 솔라리스 설치
1. 설치 전 준비사항
솔라리스를 설치하기에 앞서 몇 가지 알아두어야 할 사항들을 먼저 체크 함으로써 설치시 혼란을 줄일 수 있다.

하드웨어 호환 목록 살펴보기

스팍 머신에 솔라리스를 설치할 경우 별 문제가 없으나 인텔용 설치에 있어서 솔라리스 8의 설치가 가능한 시스템인지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 Sun 사이트에 가면 Hardware Compatibility List(HCL)라는 호환 하드웨어 목록을 제시해 준다. PC에는 여러 가지 하드웨어가 쓰이는데 혹시라도 지원이 안 되는 하드웨어가 있을 수 있으므로 꼭 점검해보자. 만약 설치가 되더라도 원활한 사용이 불가능할지도 모른다. 사양이 좋아서 문제 될 것은 없지만 솔라리스의 경우 리눅스처럼 다양한 그리고 최신의 하드웨어에 대한 지원은 없는 편이다. 이점을 고려하여 약간 구형 시스템으로 구성하는 것도 현명할 것이다.

HCL은 미디어 킷 구입단계 중 Step one: … 에 링크 되어 있다. 직접 HCL 페이지로 가려면 아래 링크를 눌러보자. 또한 http://docs.sun.com에 가면 한글화된 하드웨어 호환 목록을 PDF 형식으로 제공받을 수 있다.

여기서 Solaris 8 (Intel Platform Edition)을 누르면 Solaris 8에 대한 세 가지 릴리즈 시기에 따른 각각의 HCL이 PS, PDF, HTML의 세가지 형식으로 제공된다.

내용을 살펴보면 일반적인 요구사항, 시스템 플랫폼, 지원되는 디바이스들을 살펴볼 수 있다.

일반적인 요구사항 (10/00에 릴리즈된 솔라리스 8 기준)
CPU Intel 및 호환 : Pentium 이상(Pentium Ⅲ Zeon까지) AMD군 : K5 이상(Athlon K7까지) Cyrix군 : 5x86-100GP 이상(MII 까지)
메모리 최소 64MB, 최대 32GB
Bus ISA, PCI, VLB
디스크 인터페이스 IDE, E-IDE, SCSI
배포 매체 CD-ROM, 싱글 부트 디스켓
솔라리스 설치에 필요한 장치 로컬 SCSI, ATAPI/IDE CD-ROM ,DVD-ROM drive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SCSI, ATAPI/IDE CD-ROM, DVD-ROM drive, 하드디스크

그 밖에 싱글 프로세서 시스템,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SCSI 어댑터, SCSI 컨트롤러, CD-ROM/DVD-ROM, Jaz/Zip 드라이브, 오디오 디바이스, 멀티포트 시리얼 어댑터, 네트워크 어댑터, USB, PCMCIA, 포인팅 디바이스, 테이프 드라이브, 메인보드, 비디오 카드, 네트워크 디바이스 등 다양한 하드웨어 호환목록을 살펴볼 수 있다.
파티션을 어떻게 나눌 것인가

요즘은 대용량 하드디스크의 가격이 비교적 싸졌기 때문에 공간부족으로 인한 문제는 거의 없으리라고 본다. 하지만 구슬이 서말이라도 꿰어야 보배! 어떻게 파티션을 나누느냐는 매우 중요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그룹에 따른 권장 디스크 공간

솔라리스 8은 소프트웨어 그룹에 따른 권장 디스크 공간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 있다.
소프트웨어 그룹 권장 디스크 공간
전체 배포와 OEM 지원 2.4GB
전체 배포 2.3GB
개발자 시스템 지원 1.9GB
최종 사용자 시스템 지원 1.6GB

일반적인 파티션

시스템의 사용용도나 각자의 취향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반적인 파티션의 용도 및 크기를 살펴보자.
파티션 크기 용도
/ 30% 커널이 적재되는 파티션으로 없어서는 안된다. 너무 적은 용량을 할당하지 않도록 한다.
/export/home 30% 사용자 홈 디렉토리, /home 파티션은 따로 사용용도가 있으므로 /home을 사용자 홈 디렉토리로 설정하지 말기를 권장한다. 공간은 넉넉할수록 좋다.
/opt / 파티션에 포함 Sun에서 제공되는 기타 응용프로그램들이 설치되는 디폴트 파티션이다.
/usr 30% 유틸리티 및 기본 응용프로그램이 설치되는 곳. 후에 응용프로그램 추가 설치 시 용량부족이 생기지 않도록 넉넉히 할당한다.
/var / 파티션에 포함 로그, 메일, 프린트 작업 등 휘발성 파일들이 적재되는 곳. 메일 서버나 프린트 서버를 운영한다면 1GB 이상의 공간을 할당해 주는 것이 좋다.

나머지 10%의 공간은 스왑 영역으로 할당해 준다. 메모리의 두 배 가량으로 할당한다. 비율은 대략적인 것으로 사용자가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정보 수집

시스템이 네트워크 상에서 정확한 작동을 하게 하기 위해서는 LAN이나 인터넷 환경상에 있어야 한다. 아무리 네트워크가 연결되어 있다 하더라도 설정을 제대로 해주지 않는다면 아무 소용이 없을 것이다. 시스템에 솔라리스 8을 설치하기 전에 네트워크 정보를 수집해 놓는 것이 좋다. 각 해당사항을 모를 경우 시스템 관리자에게 문의해서 알아두자.
Hostname 솔라리스가 설치 될 네트워크에 연결된 컴퓨터의 이름 ex)ebee
IP Address 시스템의 IP 주소 ex)10.8.12.3
Domain Name 자신의 속한 그룹의 도메인 이름 ex)solarisschool.com
Subnet Mask 솔라리스가 설치될 시스템이 서브넷의 일부라면 이 또한 알아두자. ex)255.255.255.0

만약 DHCP를 사용한다면 관리자에게 문의해서 해당 사항들을 알아두도록 하자.
참고 DHCP란?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의 약자로 DHCP서버기능을 수행하는 서버 컴퓨터에 연결되어 있는 모든 클라이언트 컴퓨터의 IP설정을 자동화 시켜준다. 서버컴퓨터에서 전체의 IP를 관리하며 클라이언트 컴퓨터가 부팅 할 때마다 서버컴퓨터에서 사용하지 않는 IP를 클라이언트 컴퓨터에 할당하여 준다. DHCP 기능을 이용하면 한정적인 IP를 휴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자신의 TCP/IP의 설정이 "자동으로 IP주소 받기"로 되어 있다면 DHCP기능을 이용하고 있는 상태이다. (케이블모뎀, ADSL)


2. Solaris Web Start를 사용한 설치
Solaris Web Start를 사용해 솔라리스 8을 설치 해 보자. 이는 미디어 킷 구성물 중 설치 시디(Solaris 8 Installation)로 설치를 시작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인 설치방법이라 할 수 있다.

설치를 위한 초기 설정

Solaris 8 Installation CD를 넣고 시스템을 시작하면 설치가 시작된다. 만약 CD-ROM 부팅이 불가능한 시스템이라면 Solaris 8 Device Configuration Assistant Intel Platform Edition 이라는 제목의 디스켓을 넣고 시스템을 시작하자. 요즘 대부분의 시스템에서 CD-ROM 부팅을 지원하므로 CD로 설치를 시작한 경우를 들어 설명을 하기로 한다. 물론 디스켓으로 부팅한 경우라 해서 별 차이는 없으며 부팅에 필요한 디바이스들을 설정해주고 CD-ROM을 인식시켜주는 역할을 할 뿐이다.

메모리 테스트와 하드웨어 검색이 끝나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뜨게 된다.
SunOS - Intel Platform Edition Primary Boot Subsystem, vsn 2.0

몇 초 후 다음과 같은 화면이 뜬다.
SunOS Secondary Boot version 3.00 Solaris Intel Platform Edition Booting System Running Configuration Assistant...

파란 배경의 화면으로 바뀌면서 Solaris Device Configuration Assistant 화면이 표시된다. 이는 시스템의 하드웨어를 인식하고 인식된 장치들을 보여줌으로써 특정 장치로부터의 솔라리스 소프트웨어를 부트할 수 있도록 해준다. F2_Continue를 누르면 Bus Enumeration 화면이 나타난 후 디바이스 검색이 이루어진다. 검색이 완료되면 확인된 디바이스가 화면에 표시된다. F2_Continue를 누르면, 검색된 디바이스에 대한 드라이버들이 로딩되고 몇 초 뒤에 Boot Solaris 화면이 나타난다. CD를 선택한 다음 F2_Continue를 누른다. Solaris Web Start 3.0 Installer가 시작된다.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Configuring /dev and /devices Using RPC Bootparams for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Solaris Web Start 3.0 installer The Solaris Installer can be run in English, or any of the following languages: 1) English 6) Japanese 2) German 7) Korean 3) Spanish 8) Swedish 4) French 9) Simplified_Chinese 5) Italian 10) Traditional_Chinese Select the language you want to use to run the installer:

프롬프트, 메시지 및 기타 설치 정보를 표시할 언어의 번호를 입력한다. 7번 Korean을 선택하자. 파란색 바탕의 Solaris Installation Program 화면이 나타난다. F2_Continue를 누른다.

이제 X를 설정할 차례이다. 자바 기반의 Solaris Web Start를 이용한 설치를 하려면 X 설정을 해주어 한다. 솔라리스를 텍스트 기반으로 설치하는 건 불가능 하기 때문에 이 부분이 솔라리스를 설치하느냐 못하느냐를 결정짓는 중요한 부분이 될 수도 있다. kdmconfig - Introduction 화면이 나타난다. 역시 F2_Continue를 누른다. kdmconfig - View and Edit Window System Configuration 화면이 나타난다. 비디오 장치, 화면 크기, 해상도, 모니터 , 키보드, 마우스 등의 설정이 제대로 되어 있는지 확인하자. 필요할 경우 변경할 장치에 표시를 하고 F2_Continue를 눌러 변경한다. 설정이 제대로 되었다면 No changes needed - Test/Save and Exit를 선택한 뒤 F2_Continue를 누른다.
kdmconfig Window System Configuration Test 화면이 나타난다. F2_Continue를 누른다.

팔레트에 색상이 올바로 표시되는지, 마우스 작동이 제대로 되는지 확인하자. 아래 ‘Is this Display OK?’ 란 질문이 있는데, 올바로 표시되지 않는다면 가능할 경우 ‘No’를 누른다. 또는 아무 키나 누르거나, kdmconfig가 자동으로 종료할 때까지 기다린 다음 색상이 올바로 표시되고 마우스를 마음대로 움직일 수 있을 때까지 전의 단계를 반복한다. 올바로 표시된다면 ‘Yes’를 누른다. 이제 Solaris Web Start가 솔라리스 fdisk 파티션을 찾게 된다. 찾지 못했을 경우 적당히 fdisk로 파티션을 지정해주자.
Total disk size is 19650 cylinders Cylinder size is 1008 (512 byte) blocks Cylinders Partition Status Type Start End Length % ========= ====== ============ ===== === ====== === SELECT onE OF THE FOLLOWING: 1. Create a partition 2. Specify the active partition 3. Delete a partition 4. Exit (update disk configuration and exit) 5. Cancel (exit without updating disk configuration) Enter Selection:

1을 입력하고 Enter를 눌러 새 파티션을 생성하자.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온다.
Select the partition type to create: 1=SOLARIS 2=UNIX 3=PCIXOS 4=Other 5=DOS12 6=DOS16 7=DOSEXT 8=DOSBIG A=x86 Boot B=Diagnostic 0=Exit?

원하는 파티션 유형을 물어보게 되는데, 총 2개의 파티션을 만들면 된다.
x86 Boot, 즉 A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른다. 다음과 같은 내용이 나오게 된다.
Specify the percentage of disk to use for this partition (or type "c" to specify the size in cylinders).

원하는 비율을 입력하고 Enter를 누른다.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뜬다.
Should this become the active partition? If yes, it will be activatedeach time the computer is reset or turned on.Please type "y" or "n".

파티션 생성 확인 메시지이다. y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른다.

이제 두 번째 파티션을 만들 차례다. 첫 번째와 마찬가지로 1번을 입력한 후 이번에는 Solaris, 즉 1을 입력하고 Enter를 누른다. 원하는 비율을 입력하고 Enter를 누른다. 역시 생성 확인을 물어보면 y를 입력한다. IA 부트 분할 영역과 Solaris 분할 영역이 생성된다. 만들어진 파티션 정보가 화면에 표시된다. 4를 입력하여 fdisk 화면을 빠져 나온다. 프롬프트 상태에서 ‘/sbin/cd0_install’을 입력한 다음 Enter를 누른다.

Solaris Web Start가 솔라리스 fdisk 파티션을 찾았다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표시된다.
설치를 수행할 언어로 한글을 선택했습니다. Web Start 3.0 Solaris 설치 프로그램 시작 - Solaris 설치 프로그램이 Solaris 설치 프로그램을 넣을 위치를 시스템 하드 디스크에서 찾고 있습니다. Solaris 설치 프로그램이 루트 디스크 c0d0(을)를 fdisk해야 합니다. Solaris 설치 프로그램이 제대로 작동하려면 디스크에 스왑 분할 영역이 있어야 합니다. 이 분할 영역에는 최소한 382 MB의 공간이 필요합니다. Solaris 설치 프로그램이 루트 디스크 c0d0(을)를 fdisk하도록 하시겠습니까? [y,n,?,q] y 경고: Solaris FDISK 분할 영역에 있는 정보는 모두 지워지게 됩니다. 맞습니까? [y,n,?,q]

프롬프트 상태에서 y를 입력한 다음 Enter를 누르면 생성된 분할 영역에 대한 포맷 여부를 묻게 되는데, 입력 프롬프트 상태에서 y를 입력한 다음 Enter를 누른다.
주: 파일 시스템을 레이아웃하는 동안에는 스왑 크기를 변경할 수 없습니다. 382MB와 9656MB 사이 (기본값이 512MB)의 스왑 분할 영역 크기를 입력하십시오. [?]

프롬프트 상태에서 Enter를 눌러 교체 분할 영역(Swap Partition) 크기를 디폴트 값(512MB)으로 지정하거나 원하는 교체 분할 영역 크기를 입력한 다음 Enter를 누른다. 다음과 같은 내용이 표시된다.
설치 프로그램은 디스크 시작 부분에 교체 조각을 넣을 것입니다. 이렇게 하면 설치 과정 후반부에서 파일 시스템을 가장 융통성 있게 분할할 수 있습니다. 교체 조각을 디스크 시작 부분에서 시작하시겠습니까? [y,n,?q]

원한다면 y를, 원하지 않으면 n을 입력한 다음 Enter를 누른다. y를 선택하게 되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표시된다.
Solaris 설치 프로그램에서 사용할 정보를 다음과 같이 선택했습니다: 디스크 조각 : /dev/dsk/c0d0 크기 : 512 MB 시작 실린더 : 3 경고: 디스크의 모든 정보가 지워집니다! 맞습니까? [y,n,?,q]

y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은 내용이 표시된다. 미니루트와, 플랫폼 파일이 디스크에 복사된다.
Solaris 설치 프로그램은 디스크 분할 영역 /dev/dsk/c0d0s1(을)를 사용합니다. 파일을 복사한 후 시스템은 자동으로 재시동하여 설치를 계속합니다. 기다리십시오... 미니 루트를 지역 디스크 복사중....완료. 플랫폼 사양 파일 복사중....완료. 재시동 후 설치를 계속할 준비중입니다. 설치를 계속하려면 재부트해야 합니다. 부트 매체 (플로피나 cdrom)를 제거하고 Enter를 누르십시오. 주: 부트 매체가 cdrom일 경우 배출하기 위해 시스템이 재설정할 때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Enter를 누르면 CD가 배출된다. CD를 빼고 시스템을 재시작 한다. CD가 자동으로 배출되지 않았다면 재부팅 후 시스템의 메모리 테스트와 하드웨어 검색이 완료되기 전에 CD-ROM 드라이브에서 Solaris 8 Installation CD를 꺼내자. 몇 초 뒤에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SunOS - Intel Platform Edition Primary Boot Subsystem, vsn 2.0Current Disk Partition InformationPart# Status Type Start Length ================================================ 1 Active X86 BOOT 1008 20480 2 SOLARIS 22496 19784704 3 4 Please select the partition you wish to root:

부팅 메시지가 지나간 뒤 환영 창이 나타난다.

Solaris Web Start란?

로컬 또는 원격 CD-ROM 드라이브로부터 단일 시스템 상에 솔라리스 운영 환경과 기타 소프트웨어를 설치하는 그래픽 기반의 Java 응용프로그램이다.

Solaris Web Start가 하는 일은?

Solaris Web Start는 기본적으로 Solaris 소프트웨어를 한 번에 모두 설치하게 해준다. 개별 소프트웨어 그룹이나 추가적인 소프트웨어 제품 설치는 가능하나 소프트웨어 그룹을 구성하고 있는 개별 패키지 설치는 불가능하다. 사용자 정의 설치를 선택하고 파일 시스템 레이아웃 대화 상자를 사용하여 다른 디스크를 설정할 수 있다. 또한 기본 위치 이외에 소프트웨어 추가 설치에 사용된다.

Solaris Web Start를 사용하여 솔라리스 8을 설치하자

“환영” 창에서 “다음>”을 누른다.


Solaris Web Start가 사용자 시스템에 관한 정보 수집을 하게 된다. 네트워크 연결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시스템이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면 ‘네트워크로 연결’을 선택하고, 그렇지 않다면 ‘네트워크로 연결하지 않음’을 선택한 후 “다음>”을 누른다. ‘네트워크로 연결하지 않음’을 선택했다면 호스트 이름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네트워크로 연결’을 선택했다면 DHCP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여기서는 네트워크로 연결되어 있다는 가정 하에 설치를 진행하겠다.


DHCP 사용하려면 ‘예’를 사용하지 않으려면 ‘아니오’를 선택한다. 여기서는 ‘아니오’를 선택하겠다. 호스트 이름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사용할 호스트 이름을 입력한 뒤 “다음>”을 누른다. IP주소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네트워크에 연결된 시스템의 IP를 써준다. 넷마스크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넷마스크 값을 입력하고 “다음>”을 누른다. IPv6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IPv6의 사용여부를 선택한 뒤 다음>을 누른다. 이름 서비스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NIS, NIS+, DNS, 없음 중 시스템에서 사용할 이름 서비스를 선택한다. 이름 서비스를 사용하지 않는다면 ‘없음’을 선택한다. 이름 서비스는 솔라리스를 설치 한 후에도 얼마든지 설정이 가능하므로 ‘없음’을 선택해도 무방하다. 단, 특정 이름 서비스(NIS, NIS+, DNS) 선택 시 다음 단계에서 해당 이름 서비스를 찾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네트워크 설정이 설치로는 완벽히 되지 않으므로 ‘없음’을 선택하고 “다음>”을 누르자. 시간대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지리적 영역’을 선택하자. “다음”을 누르면 지리적 영역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왼쪽 목록에서 ‘아시아, 동부’를 선택한 후 오른쪽 목록에서 ‘대한민국’을 선택하자. “다음>”을 누르면 날짜와 시간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필요한 경우 값을 조정한 후 “다음>”을 누른다. 루트 암호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수퍼 유저로 사용할 루트 암호를 입력하고 “다음>”을 누른다. 프록시 서버 구성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자신의 사용 환경에 맞게 프록시 서버 구성을 설정하자. 대부분 ‘인터넷으로 직접 연결’을 선택하리라 본다. "다음>"을 누르면 정보 확인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정보가 정확하지 않다면 수정할 정보에 필요한 대화상자가 나타날 때까지 “<뒤로”를 눌러 해당 사항을 수정하고 다시 설치를 진행 한다. 정보가 정확하다면 “확인”을 누른다. ‘시스템을 설정값으로 구성하는 동안 기다리십시오...’라는 메시지가 뜨고 잠시 후에 넷스케이프 아이콘이 잠시 나타나고 화면이 바뀌면서 움직이는 솔라리스 로고가 보여지고 난 후 솔라리스 설치 키오스크 및 환영 창이 나타난다.


키오스크란 Solaris Web Start로 솔라리스를 설치할 때 도움을 주는 일종의 설명서 같은 것이다. 웹 페이지 등 넷스케이프 기반의 브라우저 환경이다.

환영 창에서 “다음>”을 누르자. CD 삽입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CD-ROM 드라이브에 ‘Solaris Software 1 of 2’ CD를 넣고 “확인”을 누른다. 초기화 대화상자가 잠시 나타난 후 설치 유형 선택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기본 설치나 사용자 설치를 선택한 후 “다음>”을 누른다. 디스크가 두 개 이상인 시스템일 경우 기본 설치를 선택하면 시스템 디스크만 설정 하므로 모든 디스크를 사용하고자 할 경우 사용자 정의를 선택하고 후에 나올 Disk Selection에서 표시되는 모든 디스크를 선택한다. “다음>”을 누르면 소프트웨어 로케일 선택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기본적으로는 솔라리스 영어 버전이 설치된다. 아시아 지역을 선택한 후 다음>을 누른다. 시스템 로케일 선택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시스템이 설치된 후 사용할 로케일을 선택한다. 한국어를 선택 한 후 “다음>”을 누른다. 소프트웨어 선택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추가하여 설치할 CD와 제품을 선택하고 “다음>”을 누른다. 추가 제품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추가하지 않으려면 ‘없음’을 선택하고, 추가하려면 제품 소스를 선택한다. 제품 CD를 선택했다면 CD가 배출되고 ‘Solaris 8 Software 1 of 2’ CD를 넣으라는 대화상자가 나타날 것이다. 해당 CD를 넣고 “확인”을 누르면 Solaris 클러스터 구성선택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설치할 소프트웨어 그룹을 선택한 후 “다음>”을 누른다. Disk Selection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파일 시스템을 배치할 디스크를 선택한다. 사용 가능한 디스크에 나타난 모든 디스크를 추가하자. “다음>”을 누르면 디스크 공간에 대한 요구사항을 모아진 후 파일 시스템 배치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파일 시스템을 수정하려면 “수정…”을 누른다. 해당 디스크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원하는 내용으로 변경 후 확인을 누른다. 파일 시스템 배치 화면으로 돌아와서 변경이 제대로 끝났으면 “다음>”을 누른다. 설치 준비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지금 설치”를 눌러 설치를 시작하자. 설치가 진행된다.


설치가 끝나면 설치 요약 대화상자가 나타나며 “세부사항…”을 누르면 자세히 살펴볼 수 있다. CD-ROM 드라이브에서 CD가 배출되면서 추가한 소프트웨어 설치도 계속 된다. Language, nullation CD도 화면의 지시에 따라 설치한다. 대화상자에 지시를 따라 설치를 마무리 하자. nullation CD는 설치를 안 해도 무방하다.
재부트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지금 재부트”를 눌러 시스템을 재시작 하자. 마찬가지로 CD-
ROM에 들어있는 CD는 제거해준다. 이로써 기나긴 솔라리스 8 인텔 플랫폼 판 설치가 끝났다.
3. Solaris 8 Interactive Installation Program 을 사용한 설치

Interactive Installation Program 이란?

Web Start가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라 하면 Interactive Installation Program은 비교적 문자 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라 할 수 있다. 이는 설치 시디가 아닌 소프트웨어 1 of 2 시디를 넣고 설치를 시작하는 방법이다. 문자 기반이라고는 하지만 OpenWindows 상에서 실행이 된다. 설치 과정이 크게 다르지는 않지만 사용자 정의 설치가 가능하기 때문에 더 유용할 수 도 있다.
참고 Interactive Installation은 언제 사용할까?
기존 운영 시스템을 보존하거나 이전 버전을 업그레이드 할 때 사용된다. Web Start는 다른 메소드를 사용하여 설치하기 때문에 이전 버전의 솔라리스를 8으로 업그레이드 할 수 없다. 또한 여러 운영체제를 동시에 설치하고 할 때 쓰인다.

Interactive Installation Program으로 솔라리스 설치 시작하기

Solaris 8 Software 1 of 2 Intel Platform Edition CD를 CD-ROM 드라이브에 넣고 시스템을 시작한다. 다음과 같은 메시지가 잠깐 나타난다.
SunOS - Intel Platform Edition Primary Boot Subsystem, vsn 2.0

계속해서 다음과 같은 부트 메시지가 나타난다.
SunOS Secondary Boot version 3.00 Solaris Intel Platform Edition Booting System Running Configuration Assistant...

Solaris Device Configuration Assistant 화면이 나온다. 시스템에 장착된 디바이스가 검색된다. 필요한 드라이버가 로딩되고 부트 솔라리스 화면이 나타난다. CD를 선택한다.
F2_Continue를 누르면 Running Driver 화면이 잠깐 나타난다. 설치 타입을 고르는 화면이 나타난다.
<<< Current Boot Parameters >>> Boot path:/pci@0,0/pci-ide@7, 1/ide@1/sd@0,0:a Boot args:kernel/unixSelect the type of installation you want to perform: 1 Solaris Interactive 2 Custom JumpStart Enter the number of your choice followed by the key. If you enter anything else, or if you wait for 30 seconds, an interactive installation will be started. Select type of installation:

1을 입력하거나, 30초간 기다리면 ‘1 Solaris Interactive’가 선택되어지며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타난다.
<<< starting interactive installation >>> Booting kernel/unix... SunOS Release 5.8 Version Generic 32-bit Copyright 1983-2000 Sun Microsystems, Inc. All rights reserved. Configuring /dev and /devices Using RPC Bootparams for network configuration information. Skipping interface iprb0 Stand by...

언어 선택 메시지가 나타난다.
Select a Language 0. English 1. French 2. German 3. Italian 4. Japanese 5. Korean 6. Simplified Chinese 7. Spanish 8. Swedish 9. Traditional Chinese Please make a choice (0 - 9), or press h or ? for help:

5를 입력하고 Enter를 누른다. 로케일 선택 메시지가 나타난다.
Select a Locale 0. Korean EUC 1. Korean UTF-8 2. Go Back to Previous Screen Please make a choice (0 - 2), or press h or ? for help:

사용할 로케일을 선택하면 Solaris Installation Program 화면이 나타난다. F2_Continue를 누르면 kdmconfig – Introduction 화면이 나타난다. F2_Continue를 누른다. 비디오 카드, 모니터, 마우스 등의 설정이 제대로 되어있는지 확인하자. 팔레트 화면에 색상이 제대로 표현되고, 마우스 포인터의 동작이 정상인지 확인한다. 정확하다면 “Yes”를 누른다. 솔라리스 설치 콘솔과 함께 OpenWindows가 실행된다. 이제 시스템 식별이 이루어진다.

시스템 식별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계속”을 누른다.


네트워크 연결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여기서는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다고 가정하고 설치를 진행한다. “예”를 선택하고 “계속”를 누른다.


DHCP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여기서는 사용하지 않기로 하고 “계속”을 누른다.


호스트이름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사용할 호스트 이름을 입력한 후 “계속”을 누른다.


IP 주소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사용할 IP 주소를 입력 후 “계속”을 누른다.


IPv6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사용여부를 선택한다.


여기서는 사용하지 않기로 하고 “계속”을 누른다. 네트워크, DHCP 사용, 호스트 이름, IP 주소, IPv6 사용에 관한 정보 확인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정보가 올바르면 “계속”을 누른다. 정보를 변경하려면 “변경”을 눌러 해당 사항을 변경한다. 시스템 식별이 이루어진다. 커버로스 보안 구성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이 부분도 사용하지 않기로 하고 “계속”을 누른다. 커버로스 보안 구성에 대한 정보 확인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계속”을 누른다. 시스템 식별이 이루어진다. 이름 서비스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해당 이름 서비스를 선택한 다음 “계속”을 누른다. 해당 이름 서비스에 대한 도메인 이름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없음”을 선택해도 설치 후 간단하게 설정할 수 있다. 이름 서비스에 대한 정보 확인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시스템 식별이 이루진 후 서브넷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시스템이 서브넷의 일부이면 “예”를 선택하고 “계속”을 누른다. 넷마스크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사용하는 넷마스크 값을 입력한 후 “계속”을 누른다. 시간대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지역적 위치를 선택한다. “설정…”을 누른다. 지역적 위치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왼쪽 목록에서 ‘아시아, 동부’를 선택하고 오른쪽 목록에서 ‘한국’을 선택한다. “계속”을 누른다. 시스템 식별이 이루어진다. 날짜 및 시간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수정이 필요하면 새 값을 입력 한 후 “계속”을 누른다. 서브넷, 넷마스크, 시간대, 날짜 및 시간에 대한 정보 확인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계속”을 누르면 시스템 식별이 완료되었다는 문구가 설치 콘솔에 나타난다.
솔라리스 설치 프로그램이 시작된다. "계속"을 누른다.


지역을 선택한다. "계속"을 누른다.


설치할 솔라리스 소프트웨어의 유형을 선택하고 계속을 누른다.


선택한 소프트웨어를 설치할 디스크를 선택한다. 사용가능한 디스크 중 사용할 디스크(들)을 선택한 후 '>'를 눌러 선택 창으로 옮긴다.


시스템에 솔라리스 파티션이 없다면 솔라리스 fdisk 파티션 생성할 것인지를 묻는 창이 뜬다. 솔라리스와 부트 분할 영역으로 전체 디스크를 사용, 솔라리스 영역으로 전체 디스크를 사용, fdisk로 직접 생성하는 방법이 있다.


솔라리스 영역으로 디스크 전체를 사용하는 것을 원하지 않을 경우 fdisk로 파티션을 직접 생성하자.


만약 전체 디스크를 솔라리스 영역으로 설정한다면 다음과 같은 경고 메시지가 나온다.


fdisk 파티션을 사용자 정의 할 경우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파티션을 생성, 삭제, 사용자 정의 할 수 있다. X86 Boot, Solaris 이 두 개의 파티션이..솔라리스용 파티션이다.


참고 솔라리스에서 바라 본 파티션
솔라리스는 확장 파티션의 개념이 없고, 하나의 파티션을 하나의 가상 디스크로 여긴다. 기본적으로 네 개의 파티션까지 인식하므로 적어도 한 개 이상의 주 파티션이 존재해야 설치가 가능하다. 설정할 수 있는 솔라리스 파티션은 ‘x86 Boot’와 ‘Solaris’ 두 개이다. ‘x86 Boot’ 파티션은 생략해도 된다.

fdisk 분할 영역을 생성하고 "확인"을 누르면 다시 디스크 선택 창이 보이는데 만약 디스크 여러개를 솔라리스 영역으로 사용할 경우 "부트 디스크" 버튼을 눌러 부트 디스크를 선택해 주자. "계속"을 누르면 다음과 같은 창이 뜨게 된다.


시스템 레이아웃을 자동으로 설정하려면 "자용 배열"을 사용자 정의로 설정하려면 "수동 배열"을 누르자. "수동 배열"을 선택한 경우 다음과 같이 디스크를 사용자 정의 할 수 있다.


사용자가 지정한 파일시스템 및 디스크 레이아웃에 대한 정보가 표시된다.


"자동 배열"을 선택했을 경우 다음과 같이 미리 지정된 기본 파일 시스템을 선택을 할 수 있다.


"원격 파일 시스템을 마운트 하시겠습니까?" 라는 창이 뜬다. 이 작업은 디스크 공간 문제로 소프트웨어를 제거했을 경우에 필요할 수 있다. "계속"을 누른다.


프로파일을 보여준다. 설정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한 후 "설치 시작" 버튼을 누른다.


부트 디스크 관련하여 경고 창이 뜬다. "확인"을 누르자.


설치후 부팅 관련 질의 창이 나온다. "자동 재부팅"과 "수동 재부팅"이 있는데, "수동 재부팅"을 선택했을 경우 설치가 끝난 후 설치 콘솔 창에 프롬프트가 대기하게 되는데, "reboot"를 입력해고 시스템이 재시작하면 된다.


플로피에 관한 정보 창이 뜬다. 시스템 부팅 마다 장치 검색/부트 디스크 선택을 생략하려면 플로피 디스크 장치로 부터 제거한다.


솔라리스 소프트웨어가 설치 된다.


"수동 재부팅"을 선택했을 경우 다음과 같이 설치 콘솔에서 "reboot"를 입력하자.


시스템이 재시작 되고 솔라리스 부트 매니져가 지나간 후 루트 패스워드를 지정해 준 다음에 소프트웨어 2 설치 매체를 지정하라는 대화상자가 뜬다.

설치를 마쳤거나, 건너뛰기를 했을 경우 솔라리스 8 Language 매체 지정 대화상자가 나온다.

역시 설치를 마쳤거나, 건너뛰기를 했을 경우 재부트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지금 재부트" 버튼을 누르면 시스템이 재시작 되고 솔라리스 설치가 끝난다.

솔라리스 8 소프트웨어 2와 Language는 솔라리스가 설치된 후에도 설치가 가능하다.


4. Custom JumpStart 를 사용한 설치

5. 설치 후 기본 네트워크 설정하기
설치 후 몇 가지 파일만 설정해 주면 네트워크 연결을 할 수 있다.

/etc/defaultrouter
이 파일은 기본적으로 생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파일을 생성해 주어야 한다. vi 에디터를 사용하여 파일을 생성하자. 이 파일이 있어야 정상적인 라우팅이 된다. 게이트웨이 IP를 써준다.

/etc/nsswitch.conf
이 파일에 네임서버 설정을 해준다. 여러 가지 환경 설정에 대한 내용이 있는데, 파일 중간에 'hosts : files' 라고 되어있는 부분 뒤에 하나 이상의 공백을 준 다음 다음과 같이 해당 서비스 이름을 써주면 된다.
... hosts : files dns <- 해당 이름 서비스 ...

/etc/resolv.conf
실질적인 dns 정보를 써줄 차례이다. 이 파일은 없을 수도 있으므로 없으면 새로 생성한다.
도메인과 네임서버 IP를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써주면 된다.
domain xxx.co.kr <- 도메인 nameserver xxx.xxx.xxx.xxx <- 네임서버 IP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을 재부팅 하면 네트웍 사용이 가능하다. 재부팅 하지 않고 사용하려면 다음과 같이 명령을 수행하면 된다.
# route add default xxx.xxx.xxx.xxx <- gateway 주소


Part 3. 시스템 관리 I
1. 솔라리스 부팅과정의 이해
유닉스 부팅의 개요

1.1 부팅이란?

컴퓨터에서 부팅 이란 시작한다는 뜻으로 통용되는 용어이며, Bootstrapping 의 줄임말이다. Bootstrap이란 장화(부츠)를 손쉽게 신기 위해 잡아당길 수 있도록 되어 있는 손잡이가죽을 말하며, 결국 bootstrapping은 장화를 신듯이 시스템이 운영할 수 있는 준비를 하는 것을 뜻한다.

1.2. boot 과정

일반적인 UNIX의 부팅 과정에서 진행되는 일은 다음과 같다.

- Kernel의 loading 과 initialization
- Device detection 과 configuration
- System process 의 생성
- Operator intervention(single-user boot에서만 가능함)
- System 시작 스크립트 수행
- Multi-user operation

x86 계열의 부팅과정으로, 보다 구체화 시키면 다음과 같다.

- 전원이 들어오면 일단 BIOS가 시스템 하드웨어에 문제가 없는지 테스트한다.
- 첫번째 하드 디스크의 MBR(Master Boot Record)의 프로그램이 Partition Table을 검사하여 활성화(active)된 파티션의 부트 섹터를 읽어 그 코드를 실행한다. 해당 코드는 커널을 메모리로 읽어 들이는 역할을 한다.
- 커널은 자료구조를 초기화하고 필요한 커널 모듈을 읽어 들인다.
- Root file system 을 mount 한다.
- init 프로그램을 수행한다(init 프로그램이 다양한 스크립트를 수행하여 multi-user mode로 전환하게 된다).

1.3. 초기 프로세스의 생성

커널이 메모리에 올라오고 초기화 작업이 끝나는 시점에서 사용자 메모리 영역에 몇 개의 자발적(spontaneous) 프로세스(fork와 같은 방법으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닌 프로세스)를 만든다. BSD계열에서는

- swapper : process 0
- init : process 1
- pagedaemon : process 2

등이며, System V 계열에서는

- sched : process 0
- init : process 1
- memory handler(각 시스템마다 차이가 있음)

등의 이름을 가지고 있다. 몇몇 초기 프로세스의 생성이 끝나면, 부팅 에 관한 커널의 임무는 여기서 끝나고 나머지 부팅 과정은 init process 가 주도한다.

1.4. 시작 스크립트

init 는 각종 스크립트를 수행하여 시스템 운영 환경을 구축한다. 스크립트의 수행구조는 BSD계열과 System V 계열이 약간 차이가 있다.
BSD계열은 /etc 하위에 rc 로 시작하는 파일들이 수행되는 스크립트이며, System V계열은 /etc/init.d 하위에 시작 스크립트들이 존재하고 이중 필요한 것들이 /etc/rc0.d, /etc/rc1.d 등의 디렉토리에 링크되어 사용된다.
어떤 시스템이든 시작 스크립트는 대략 다음과 같은 일들을 한다.

- 컴퓨터의 이름 setting
- time zone setting
- 시스템의 디스크들을 mount
- network interface를 configuration
- 각종 daemon 과 network service 를 시작

우리는 솔라리스가 따르고 있는 System V 방식의 시작 스크립트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다.

1.5. run level

System V 계열의 init daemon 은 run level 이라는 것을 지원한다. Run level은 시스템 자원을 서로 다르게 조합하여 운영하는 것을 가능케 하는데 시작 스크립트도 이에 따라 여러 부분으로 나누어져 있다.

System V에서는 다음과 같이 8개의 run level 을 제공한다.
Run Level Functionality
0 Power down state : 시스템과 주변장치의 power 를 내려도 안전한 레벨
1 System Administration state : 다른 log-on 한 사용자에게 영향을 주지 않고 관리 업무를 수행할 때 사용
2 Multiuser mode : NFS 외의 모든 서비스가 제공되는 상태
3 Networked Multiuser mode : 일반적인 operating mode
4 Alternative Multiuser mode : 현재 사용되지 않는 run level
5 Firmware state : maintenance activity를 위해 사용
6 Shutdown and reboot state : 보통상태에서 reboot 할 때 사용
S Single-user mode

솔라리스의 부팅

2.1. 솔라리스 부팅의 개요

솔라리스는 다음과 같은 네 단계를 거쳐 부팅이 수행된다. 일단 BIOS 단계에서 시스템의 하드웨어적인 이상유무를 판단하고, MBR을 읽어 들이고, 커널을 인식시킨 후에 init 프로세서를 통해 부팅을 마무리 하게 된다. 그럼 각 과정에 대해 조금 더 깊이 들어가 보자.

2.2. BIOS 단계

시스템의 전원을 켰을 때 BIOS 는 시스템에 H/W와 메모리를 검사하기 위해 Self-test를 실시한다. 에러가 발견되지 않았을 경우, BIOS는 첫번째 부트 섹터(MBR)에 저장된 mboot를 메모리에 적재하고 수행한다.

2.3. boot program 단계

mboot는 활성화(active)된 파티션을 찾아서, pboot를 메모리에 적재하고 수행시킨다. 그리고 pboot는 디스크 안에 있는 secondary boot program을 메모리에 적재하기 위한 primary boot proram인 bootblk을 메모리에 적재한다. 기본적으로 파란 화면에서 10초간 기다리도록 설정되어 있는데, 부팅 가능한 파티션이 여러 개라면 이 화면에서 선택하여 부팅을 할 수 있다. Bootblk는 secondary boot program 인 boot.bin 이나 ufsboot 를 찾아 수행하는데, boot.bin 이나 ufsboot는 /etc/bootrc 스크립트를 수행하기 위해 command interpreter를 시작한다.

2.4. 커널 인식 단계

core kernel 이 메모리에 올라온 이후 자신의 데이터 구조를 초기화하고, 모듈들을 메모리에 적재한다. 필요한 모듈을 불러온 이후에 커널은 /sbin/init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2.5. init 단계

커널에서 init 를 호출한 이후부터는 init 프로세스가 /etc/inittab 파일의 내용을 바탕으로 마지막 부팅 작업을 하기 시작한다.
각 run level 별로 수행되는 디렉토리와 파일을 알아보고, 특히 우리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run level 3 이 수행되는 경우에 대해서 심층있게 알아보도록 하자.
/etc/ 디렉토리 아래에는 다음과 같은 파일들이 존재하는데 그림으로 알아보도록 하자.



run level 들이 명시되어 있는 파일인 /etc/inittab 파일을 조금만 살펴 보도록 하자.
sS:s:wait:/sbin/rcS >/dev/msglog 2<>/dev/msglog s0:0:wait:/sbin/rc0 >/dev/msglog 2<>/dev/msglog s1:1:respawn:/sbin/rc1 >/dev/msglog 2<>/dev/msglog s2:23:wait:/sbin/rc2 >/dev/msglog 2<>/dev/msglog s3:3:wait:/sbin/rc3 >/dev/msglog 2<>/dev/msglog s5:5:wait:/sbin/rc5 >/dev/msglog 2<>/dev/msglog s6:6:wait:/sbin/rc6 >/dev/msglog 2<>/dev/msglog <>

위의 내용은 /etc/inittab 파일의 중간 부분을 발췌한 것이다. 눈치가 빠른 사람은 금방 알아챘겠지만, s3로 시작하는 부분이 run level 3일 경우에 관련된 부분이다. 따라서 run level 3일 경우에 /sbin/rc3를 실행하게 된다.
물론 inittab 파일 안에 보면 전후에 실행되는 default 필드들이 있으나 여기서는 생략하도록 하겠다.

그럼 /sbin/rc3 파일을 살펴보도록 하자.
if [ -d /etc/rc3.d ]; then for f in /etc/rc3.d/K*; do if [ -s $f ]; then case $f in *.sh) . $f ;; *) /sbin/sh $f stop ;; esac fi done for f in /etc/rc3.d/S*; do if [ -s $f ]; then case $f in *.sh) . $f ;; *) /sbin/sh $f start ;; esac fi donefi

위의 파일 역시 중간 부분을 발췌하였다. 이 부분은 /etc/rc3.d 디렉토리의 여러 데몬들을 구동시키는 스크립트인데, 보는 바와 같이 /etc/rc3.d 디렉토리의 파일들 중에 S로 시작하는 파일에는 start 인수를 넘겨서 시작하도록 하고, K로 시작하는 파일들은 stop 인수를 넘긴다. 한번 자신의 /etc/rc3.d 디렉토리를 살펴보고 파일명을 살펴보도록 하자.

2.6. run level 바꾸기

run level 을 바꾸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다. 그 중에 유용하게 쓰이는 init 명령을 살펴보도록 하자.
지금 우리가 디스크에 문제가 생겨서, single-user mode 로 부팅을 했다고 가정하자. 문제를 해결하고 원래대로 부팅을 하고 싶은데 우리는 reboot 작업을 거쳐야 할까? 물론 아니다. 다음과 같이 명령을 내리면 된다.

# init 3

위의 명령으로 run level 3로 들어가게 할 수 있다.
숫자 부분에 올 수 있는 인수로는 0, 1, 2, 3, 4, 5, 6, s 가 있다.

2. 사용자 계정 관리
`
관리자가 해야할 일 중에 가장 기본적이라고 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사용자의 계정을 관리하는 것이다. 관리자는 필요한 계정을 등록 해야하고 필요하면 삭제도 해야한다. 여기서는 이러한 계정 등록과 삭제에 관한 내용을 살펴볼 것이다.

1 사용자 계정 등록하기
사용자 계정을 등록하는 방법에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그 중에서 두 가지를 여기서 설명하겠다. 먼저 GUI환경에서 제공해주는 admintool이라는 명령어를 이용하여 등록이 가능하며 useradd라는 터미널 상에서의 명령어를 사용해서 계정을 등록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관리자는 admintool은 한 두 명의 사용자를 등록하기에는 편리하지만 여러 명의 계정을 등록하려면 아무래도 useradd명령어를 사용해서 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1.1 admintool
admintool을 사용하는 것은 해당 메뉴를 보면 사용하기가 쉬울 것이다. Admintool을 수행하면 3개의 풀다운 메뉴가 보일 것이다.
File은 하위 메뉴로 종료(Exit)하는 기능의 메뉴가 있으며
Edit는 창에 있는 항목을 선택하여 추가(Add), 수정(Modify), 삭제(Delete)하는 기능의 메뉴가 있고
Browse 메뉴가 어떠한 기능을 제공하는지 다음 표에 나와있다.
메뉴 기능
사용자 사용자 추가, 수정 및 삭제
그룹 그룹 추가, 수정 및 삭제
호스트 호스트 추가, 수정 및 삭제
프린터 프린터 추가, 수정 및 삭제
직렬 포트 직렬 포트 추가, 수정 및 삭제
소프트웨어 패키지 관련 소프트웨어 추가, 수정 및 삭제


1.2 useradd
useradd는 터미널 모드에서 사용하는 명령어로써 자주 사용되는 옵션은 숙지하여야 한다.
useradd [-c comment] [-d dir] [-e expire] [-f inactive] [-g group]
[-G group [, group...]] [-m [-k skel_dir]] [-u uid [-o]] [-s shell]
[-P profile [, profile...]] login

useradd 명령어의 사용 예를 보자.

# useradd -c Superman -d /export/home/ebee -s /bin/ksh -g 100 -u 1001 -m ebee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옵션을 이용해서 사용자를 등록한 예이다. -m 옵션은 홈 디렉토리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생성시키는 옵션이다. 모든 옵션을 생략하고 다음과 같이 간단히 사용자를 등록할 수도 있다.

# useradd ebee

이렇게 하면 단지 ebee라는 사용자 계정만 만들어질 뿐이고 홈디렉토리는 만들어지지 않는다. UID는 가장 큰 UID다음번호가 등록이 되며 GID는 1(other)로 등록이 된다. 그리고 쉘은 본쉘(/bin/sh)이 기본적으로 세팅이 된다.
등록해야할 사용자가 많을 경우에는 간단한 쉘 스크립트를 사용하여 사용자 등록을 자동적으로 해줄 수도 있다. /etc/passwd에 단순히 편집모드에서 사용자를 추가했을 경우에도 계정 등록이 가능하다 하지만 /etc/shadow에도 추가되어야 하므로 다음과 같은 명령어를 사용하여 /etc/shadow에도 추가해준다.

# pwconv

pwconv(/bin/pwconv)명령어는 /etc/passwd파일을 참조하여 /etc/shadow파일을 갱신해준다.

2 사용자 계정 삭제하기
유효기간이 지난 사용자나 필요 없는 사용자가 존재하면 가능하면 보안상 즉시 삭제를 해주는 것이 좋다. 삭제하는 방법은 마찬가지로 ‘admintool’을 사용할 수도 있지만 여기서는 ‘userdel’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하겠다.

# userdel [-r] login

-r 옵션은 사용자가 사용했던 홈 디렉토리까지 삭제하라는 옵션이다.

삭제 후 제대로 삭제되었는지를 확인하려면 /etc/passwd와 /etc/shadow를 확인해서 해당 login id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해보면 된다.

3 그룹 추가하기
그룹추가도 마찬가지로 적은 수의 그룹 관리이면 ‘admintool’을 사용해도 무난하다. 만일 그룹수가 많아지면 ‘groupadd’라는 명령어를 사용한다.

groupadd [-g gid [-o]] group

'-g gid'옵션은 GID(정수)를 써주는 부분이며 -o 옵션은 GID의 중복 사용을 허용해주는 옵션이다.

# groupadd -g 100 solaris

이렇게 solaris라는 그룹이 100이라는 GID로 등록이 되며 이는 /etc/group에 저장이 된다.
/etc/group이라는 파일을 보면 네 개의 필드가 존재한다. 첫 번째 필드는 그룹명, 두 번째 필드는 passwd, 세 번째 필드는 그룹의 실제 ID(GID), 네 번째 필드는 해당 그룹의 사용자 목록이다.

4 그룹 삭제하기
그룹 삭제는 ‘groupdel’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groupdel group

여기서 group은 그룹명을 적어주면 된다.

5 사용자 패스워드
패스워드 파일(/etc/passwd)은 사용자들에 대한 정보를 지닌 파일로 각 라인마다 7개의 필드로 구성되어 있다.

[사용자 계정]:[암호]:[사용자 ID]:[그룹 ID]:[주석]:[홈 디렉토리]:[로그인 쉘]

위에서 ebee라는 계정을 만들었을 때 /etc/passwd에는 다음과 같이 추가가 된다.

ebee:x:1001:100:Superman:/export/home/ebee:/bin/ksh

여기서 암호필드에 x라고 되어있는데 이는 shadow 파일을 사용하겠다는 의미이다. 예전에는 이곳에 사용자 암호를 암호화한 내용이 들어있었지만 보안상의 문제로 요즘에는 보통 /etc/shadow에 넣어둔다. 그리고 이 shadow파일은 일반사용자는 열람이 불가하게 기본 설정이 되어있다. 나머지 필드는 이해하는데 별 어려움이 없을 것이다. 참고로 주석(comment) 필드는 생략 가능하다.
passwd파일에서 UID가 0이면 root(관리자)를 의미하며, UID와 사용자 계정은 중복해서 사용할 수가 없다. 또한 UID, GID는 항상 숫자로 나타내어야 한다.


3. 솔라리스 디렉토리 구조

4. 솔라리스 파일 시스템

5. NFS (Network File System)

1. NFS란?

NFS란 Network File System의 약자로서 1980년대에 썬 마이크로시스템즈에서 처음 개발되었고, 현재 리눅스나 솔라리스와 같은 유닉스를 비롯하여 윈도95/98과 윈도2000과 같은 운영 체제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그럼 NFS란 무엇인가? 간단히 말해서 어떤 한 시스템(클라이언트)에서 다른 시스템(서버)의 자원을 자신의 자원처럼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을 말한다. 이렇게 사용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줄이고 효율적인 운영을 할 수 있기 때문이다. 리눅스를 어느 정도 다루었던 사람들은 NFS에 대한 개념을 쉽게 잡을 수 있을 것이다. 솔라리스에서의 NFS도 다를 바가 없다. 다만 설정상에 약간 차이가 있을 뿐이다.
NFS에 대한 개념도를 [그림 1]에 나타내었다. 그림에서는 NFS서버의 공유된 자원으로 디스크를 예로 설명된 것이다. 물론 디스크가 아니라 CD-ROM과 같은 것도 가능하다. NFS를 사용하려면 서버와 클라이언트 양쪽에서 몇 가지 설정이 필요하다. 서버의 설정이 완료되면 지정된 클라이언트에서는 단지 마운트를 통해 NFS서버의 자원을 자신의 자원인양 똑같이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NFS는 좋기만 한 것은 아니다. NFS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연결되어 있으면 NFS서버의 자원에 접근할 때마다 네트웍 트래픽이 걸리므로 속도면에서 많은 손실을 감안해야 한다는 점이다.


NFS는 여러 명이 같이 사용되는 대용량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들을 하나의 호스트에 넣어 두고 각 클라이언트들은 이 호스트의 데이터가 들어있는 디렉토리를 마운트하여 사용한다. 따라서 디스크 공간 면에서도 많은 절약을 가져올 수 있으며 각 각의 클라이언트마다 동일한 프로그램을 설치할 필요성도 없어지므로 관리면에서도 매우 편리해 진다. 그럼 NFS를 운영하기 위해서 NFS서버와 클라이언트에 필요한 데몬에 대해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NFS 서버에서 사용되는 데몬
데몬 설명
/usr/lib/nfs/nfsd 클라이언트의 파일 시스템 요청을 처리한다.
/usr/lib/nfs/mountd NFS 접근 정보에 대한 요청과 파일 시스템 마운트 요청에 대해 응답을 해주는 RPC 서버이다.

클라리언트가 NFS서버에 접근 요청을 하면 제일 먼저 mountd 데몬이 수행되어 /etc/dfs/sharetab파일을 참조한다. nfsd가 돌고 있다면 mountd를 꼭 데몬으로 실행해 주어야 정상적으로 NFS서버를 운영할 수 있다.
위의 데몬들은 모두 NFS서버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필수적인 데몬들이며 run level 3에서 /etc/rc3.d/S15nfs.server라는 스크립트를 통해서 실행되며 이는 /etc/init.d/nfs.server와 같은 스크립트이다.

NFS 클라이언트에서 사용되는 데몬
데몬 설명
/usr/lib/nfs/statd lockd 데몬과 함께 NFS에서의 locking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crash 또는 recovery 기능을 제공한다.
/usr/lib/nfs/lockd NFS lock기능을 담당하는 데몬이며, statd 데몬이 모니터링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한다.

위의 데몬들 또한 NFS서버에 접근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NFS 클라이언트 데몬들이다. 이들은 모두 run level 2에서 /etc/rc2.d/S73nfs.client라는 스크립트를 통해서 실행되며 이 파일은 /etc/init.d/nfs.client와 같은 것이다.

2. NFS 서버

NFS 서버란 공유목적으로 파일 시스템과 같은 자원을 원격 호스트에게 네트웍을 통하여 제공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NFS 서버를 세팅하기 위해서는 우선 공유하고자 하는 파일 시스템을 선택하고 이를 클라이언트가 NFS로 사용하도록 공유를 해줘야 한다. 공유하는 방식에 따라 수동 공유와 자동 공유가 있다.

1 수동 공유
수동 공유 설정은 'share'(/usr/bin/share)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며 'share'에 대한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share [-F FSType] [-o specific_options] [-d description] [pathname]

-F : 파일 시스템 형태를 적어준다. 기본적으로 nfs로 인식한다. 따라서 command에서는 생략 가능하다.
-o :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공유자원에 접근할 때 사용제한에 대한 옵션을 적어준다.
rw=client[:client]... ; 읽기와 쓰기 가능, client에는 네트웍 호스트 이름이나 ip를 입력
ro=client[:client]... ; 읽기만 가능
root=client[:client]... ; 지정된 클라이언트에게 root 퍼미션으로 해당 자원을 공유
anon=uid ; 지정된 uid로 해당 자원을 공유
-d description : 공유 자원을 설명하는 주석
pathname : NFS 서버측 공유자원의 절대 경로명

클라이언트의 루트 사용자가 만일 NFS 서버의 공유 자원에 쓰기를 하면 어떠한 UID와 GID로 기록이 될까? 언뜻 생각하면 보통과 같이 root:other(0:1)이라고 생각하기가 쉽지만 실제로 해보면 이렇게 기록이 되질 않는다. NFS 서버측에서는 클라이언트의 root를 nobody(uid=60001)로 인식을 하기 때문에 nobody:other로 기록이 된다. 만일 root의 uid가 0인 상태로 NFS서버로 접근하기를 원한다면 위에서 기술한 anon=0이라는 항목을 추가하면 된다.

다음 예는 ‘share’와 ‘unshare’에 대한 가장 간단한 사용법을 설명한 것이다. 여기서는 임시적으로 ‘/data’라는 디렉토리를 만들어 공유를 하였다. 공유 옵션은 사용하지 않았지만 기본적으로 ‘rw’옵션이 설정된다. 단순히 ‘share’라는 명령을 실행시키면 공유정보를 출력시켜준다. 하지만 아직 NFS 서버가 동작하는 것은 아니다. NFS 서버상에 현재 공유가 수행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보려면 ‘dfshares’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아직 NFS 서버 데몬이 실행이 안되었으므로 ‘dfshares’ 명령어를 실행하면 프로그램이 아직 등록이 안되었다고 나올 것이다. ‘/etc/init.d/nfs.server start’라는 명령어로 NFS 서버 데몬을 실행시키면 이제부턴 NFS 클라이언트에서 마운트를 통해 서버의 공유 자원을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공유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면 ‘unshare’라는 명령어로 공유를 해지하고 데몬을 없애는 것은 ‘/etc/init.d/nfs.server stop’라고 하면 된다.

‘share’명령어로 NFS 서버의 자원을 공유하면 해당 정보가 ‘/etc/dfs/sharetab’에 자동 저장되며 클라이언트가 접근을 하면 이 파일을 참조하여 허용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share’를 아무 옵션 없이 사용하면 자신의 공유 정보를 화면에 나타내 준다. 다음 표는 공유와 관련된 명령어들을 요약 정리한 것이다.
명령어 기능
share 현재의 공유 정보를 출력해주며 자원을 공유하는데 사용된다.
shareall /etc/dfs/dfstab를 참조하여 리스트되어 있는 자원을 공유한다.
unshare 명시된 경로에 대해서 NFS 공유를 모두 해제 시킨다.
unshareall /etc/dfs/dfstab에 명시된 공유 리스트를 모두 해제 시킨다.

다음 예는 ‘share’와 ‘unshare’에 대한 가장 간단한 사용법을 설명한 것이다. 여기서는 임시적으로 ‘/data’라는 디렉토리를 만들어 공유를 하였다. 공유 옵션은 사용하지 않았지만 기본적으로 ‘rw’옵션이 설정된다. 단순히 ‘share’라는 명령을 실행시키면 공유정보를 출력시켜준다. 하지만 아직 NFS 서버가 동작하는 것은 아니다. NFS 서버상에 현재 공유가 수행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보려면 ‘dfshares’라는 명령어를 사용하면 된다. 아직 NFS 서버 데몬이 실행이 안되었으므로 ‘dfshares’ 명령어를 실행하면 프로그램이 아직 등록이 안되었다고 나올 것이다. ‘/etc/init.d/nfs.server start’라는 명령어로 NFS 서버 데몬을 실행시키면 이제부턴 NFS 클라이언트에서 마운트를 통해 서버의 공유 자원을 사용할 수가 있게 된다. 공유가 더 이상 필요하지 않게 되면 ‘unshare’라는 명령어로 공유를 해지하고 데몬을 없애는 것은 ‘/etc/init.d/nfs.server stop’라고 하면 된다.

예)
# cd / # mkdir /data # share /data # share - /data rw "" # cat /etc/dfs/sharetab /data - nfs rw # dfshares nfs dfshares:sola: RPC: Program not registered # /etc/init.d/nfs.server start # dfshares RESOURCE SERVER ACCESS TRANSPORT sola:/data sola - - # unshare /data # /etc/init.d/nfs.server stop

옵션을 사용한 NFS 공유는 나중에 다시 다룰 것이다.

2 자동 공유
지금까지는 기본적으로 ‘share’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직접 공유를 수행하였다. 이렇게 수행된 자원 공유는 재부팅이 되면 공유된 정보가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재부팅이 되어도 자동으로 공유가 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etc/dfs/dfstab’파일에 공유 정보를 입력해주면 된다. 그럼 run-level 3로 들어갈 때에 dfstab 파일의 정보를 참조하여 공유를 수행한다.
dfstab파일에 공유 정보 입력은 위에서 ‘share’명령어를 사용했던 문장을 그대로 입력해 주면 된다. 다만 ‘-F nfs’옵션은 꼭 써주어야 한다. 위에서 설명한 예를 가지고 dfstab파일을 작성해 보면 다음과 같다.

예)
# cd /etc/dfs # ls -F dfstab fstypes sharetab # vi dfstab share -F nfs /data

이렇게 작성된 공유는 아직 NFS 클라이언트에서 마운트를 할 수 없다. 위에서 설명한 ‘shareall’이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자원을 공유해줘야 한다. ‘shareall’은 ‘/etc/dfs/dfstab’에 들어있는 공유 정보를 가지고 공유를 실행한다. 수동 공유때와 마찬가지로 공유를 수행한 다음 만일 현재 NFS 서버 데몬이 실행중이 아니라면 ‘/etc/init.d/nfs.server start’라는 명령어로 데몬을 실행시켜주어야 한다.

3. NFS 클라이언트에서 할 일

1 수동 마운트
NFS 서버의 공유 내용들을 클라이언트에서 사용하려면 서버에서 공유된 자원을 마운트해야 한다. 마운트할 때 사용되는 명령어는 ‘mount’이며 기본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mount [ -F nfs ] [ -r ] [ -o specific_options ] server:pathname mount_point
-r : 읽기만 가능하게 마운트
-o : 일반적인 마운트 옵션 외에 NFS에서만 적용되는 옵션을 기술

마운트가 수행되면 해당 정보는 ‘/etc/mnttab’에 저장이 되며 마우트를 수행하는 시스템(NFS 클라이언트)에서는 해당 디렉토리에 접근할 때에 위의 파일내용을 참조한다.
간단한 마운트에 대한 예제를 전 장에서 설명된 NFS 서버에서 설정된 사항을 바탕으로 설명하겠다. NFS 서버의 도메인을 ‘sola’라 하고 공유된 디렉토리는 ‘/data’라고 하면, 다음 예와 같이 마운트를 하면 된다. 여기서 ‘sola’ 대신에 NFS서버의 ip주소를 입력해도 무관하다.

예)
# cd / # mkdir /data # mount sola:/data /data # df –k Filesystem kbytes used avail capacity Mounted on /dev/dsk/c0t1d0s0 4030518 58355 3931858 2% / /dev/dsk/c0t1d0s3 4030518 686733 3303480 18% /usr /proc 0 0 0 0% /proc fd 0 0 0 0% /dev/fd mnttab 0 0 0 0% /etc/mnttab swap 523576 0 523576 0% /var/run swap 523904 328 523576 1% /tmp /dev/dsk/c0t1d0s6 983349 217537 706812 24% /opt /dev/dsk/c0t0d0s7 8286045 304548 7898637 4% /export/home /dev/dsk/c0t1d0s4 4030518 1 3990212 1% /usr/local sola:/data 3007086 70853 2876092 3% /data

마운트 대상 디렉토리는 로컬 시스템에서 항시 비어있어야 한다. 만일 내용이 있는 디렉토리를 마운트를 하면 에러가 발생할 수도 있으며 순조롭게 마운트가 수행되는 경우도 있다. 이것은 해당 디렉토리에서 어떠한 작업이든 사용중이면 ‘장치 사용 중’이라는 메시지가 나오며 마운트가 실패 된다. 만일 장치가 사용중이 아니라면 마운트는 수행이 되며 원래의 디렉토리에 들어있던 내용은 보이질 않게 된다. 하지만 지워지는 것은 아니니 안심해도 된다. 나중에 ‘umount’를 사용해서 마운트를 해제하면 원래의 파일들을 다시 볼 수 있을 것이다.

예)
# cd / # mount sola:/data /opt nfs mount: mount: /opt: 장치 사용 중

2 자동 마운트
수동으로 마운트 된 것은 시스템을 재부팅하면 마운트 정보가 사라지게 된다. 재부팅이 되어도 마운트 정보를 보존하고자 하면 ‘/etc/vfstab’라는 파일에 해당 마운트 정보를 입력하면 된다. ‘/etc/dfs/dfstab’과는 달리 여기에는 명령형태로 입력하는 것이 아니라 입력 방식이 따로 있다. 해당 파일을 열면 아마도 기존의 마운트 정보가 입력되어 있을 것이며, NFS 마운트 정보를 다음 예와 같이 추가 하면 된다. 입력시 주의할 점은 각 간격을 모두 ‘tab’으로 해야 한다는 점이다.
예)
# cd /etc # cat /etc/vfstab … … sola:/data - /data nfs - yes -

이번 절은 이제까지 설명된 내용을 바탕으로 몇 가지 옵션을 주고 NFS 서버와 클라이언트를 실제로 설정을 해보도록 하겠다. 다음 표는 예제로 사용될 NFS 서버와 클라이언트에 대한 정보이다.
호스트명 IP 주소
NFS 서버 sola1 192.168.1.194
NFS 클라이언트 sola2 192.168.1.195
sola3 192.168.1.196

1 NFS 서버
서버에서의 공유 자원으로는 /data/user1, /data/user2, /data/user3, /data/user4로 하며 모든 작업은 root권한으로 한다. 각 디렉토리는 서로 다르게 공유 옵션을 주었으며 해당 옵션에 대한 설명은 아래 표에 하였다.

예)
sola1# cd / ; mkdir data sola1# mkdir user1 user2 user3 user4 sola1# vi /etc/dfs/dfstab share –F nfs /data/user1 share –F nfs –o ro=sola2,rw=sola3 /data/user2 share –F nfs –o rw=sola2:sola3,root=sola2 /data/user3 share –F nfs –o rw=sola2:sola3,anon=0 /data/user4 sola1# /etc/init.d/nfs.server start sola1# dfshares RESOURCE SERVER ACCESS TRANSPORT sola1:/data/user1 sola1 - - sola1:/data/user2 sola1 - - sola1:/data/user3 sola1 - - sola1:/data/user4 sola1 - -

/data/user1 /data/user2 /data/user3 /data/user4
sola2 읽고 쓰기 가능 읽기만 가능 읽고 쓰기 가능 root 권한으로 작업 가능 읽고 쓰기 가능 root 권한으로 작업 가능
sola3 읽고 쓰기 가능 읽고 쓰기 가능 읽고 쓰기 가능 읽고 쓰기 가능 root 권한으로 작업 가능
기타 공유 가능 공유 불가 공유 불가 공유 불가

/data/user1 디렉토리는 아무 옵션을 주지않고 공유를 한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기본적으로 ‘rw’옵션이 제공되는 것이며 어느 클라이언트라도 공유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이러한 설정은 가능하면 안하는 것이 좋다. /data/user2 디렉토리는 sola2에게는 읽기만 가능하게 설정을 하였고 sola3에게는 읽고 쓰기가 가능하게 설정한 것이다. 호스트를 구체적으로 지정하였으므로 sola2와 sola3 호스트를 제외하고는 NFS 서버의 공유 자원을 사용할 수 없다. /data/user3와 /data/user4는 NFS 클라이언트에서 root권한(UID=0)으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며 다만, /data/user3는 sola2만 root권한 작업이 가능하고 /data/user4는 sola2와 sola3 둘 다 root권한으로 작업하는 것이 가능하다. 마찬가지로 호스트를 구체적으로 지정하였으므로 다른 클라이언트에서는 마운트해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 하다.
이렇게 설정을 하고 NFS 클라이언트에서 마운트해서 쓰려고 하면 가능할까? 정답은 불가능 하다이다. 그 이유는 처음 디렉토리를 생성하면 디렉토리 퍼미션이 755로 되어있는데 이 퍼미션으로는 루트를 제외하고는 쓰기가 불가능하다. 즉 sola2는 /data/user3와 /data/user4에서 루트로만 쓰기가 가능하며 다른 계정으로는 쓰기가 불가능하고, /data/user1과 /data/user2에서는 클라이언트에서 루트로 사용을 하려고 해도 uid가 nobody로 되기 때문에 쓰기가 불가능하다. 이 부분은 각자 실제로 그렇게 되는지 한번 테스트 해보도록 하고 이를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디렉토리 퍼미션을 777로 바꾸어주기 바란다.

예)
sola1# cd /data sola1# chmod 777 * sola1# ls –al drwxr-xr-x 6 root other 512 Nov 22 11:55 ./ drwxr-xr-x 28 root root 1024 Nov 22 11:54 ../ drwxrwxrwx 2 root other 512 Nov 23 19:25 user1/ drwxrwxrwx 2 root other 512 Nov 22 11:55 user2/ drwxrwxrwx 2 root other 512 Nov 23 19:51 user3/ drwxrwxrwx 2 root other 512 Nov 22 16:11 user4/

2 NFS 클라이언트
NFS 클라이언트에서 해주어야 할 일은 각 디렉토리(마운트 포인트)를 만들고 NFS 서버에서 공유된 자원을 마운트 해주어야 하는 일이다. 여기서는 수동 마운트와 자동 마운트에 대해서 설명할 것이다. sola2는 수동 마운트를 사용하였으며, sola3는 자동마운트를 사용하였다. 둘 다 어느 것을 사용하여도 상관은 없다.

2.1 수동 마운트

수동 마운트는 ‘mount’라는 명령어를 사용하여 단순히 서버측 호스트와 공유디렉토리를 명시하여 주고, 클라이언트 쪽에 마운트 포인트만 지정하여 주면 된다.
sola2# cd / ; mkdir data sola2# mkdir user1 user2 user3 user4 sola2# /etc/init.d/nfs.client start sola2# mount –F nfs sola1:/data/user1 /data/user1 sola2# mount –F nfs sola1:/data/user2 /data/user2 sola2# mount –F nfs sola1:/data/user3 /data/user3 sola2# mount –F nfs sola1:/data/user4 /data/user4 sola2# df –k Filesystem kbytes used avail capacity Mounted on /dev/dsk/c0t1d0s0 4030518 58611 3931602 2% / /dev/dsk/c0t1d0s3 4030518 686733 3303480 18% /usr /proc 0 0 0 0% /proc fd 0 0 0 0% /dev/fd mnttab 0 0 0 0% /etc/mnttab swap 553856 0 553856 0% /var/run swap 554184 328 553856 1% /tmp /dev/dsk/c0t1d0s6 983349 217537 706812 24% /opt /dev/dsk/c0t0d0s7 8286045 305049 7898136 4% /export/home /dev/dsk/c0t1d0s4 4030518 1 3990212 1% /usr/local sola1:/data/user1 3007086 64451 2882494 3% /data/user1 sola1:/data/user2 3007086 64451 2882494 3% /data/user2 sola1:/data/user3 3007086 64451 2882494 3% /data/user3 sola1:/data/user4 3007086 64451 2882494 3% /data/user4

2.2 자동 마운트
자동 마운트는 ‘/etc/vfstab’이라는 파일에 직접 마운트할 내용을 써주어서 ‘/etc/init.d/nfs.client start’라는 명령어를 통해 마운트가 실행이 된다. 또한 재부팅이 된다 하여도 부팅시 ‘/etc/vfstab’라는 파일을 참조하여 각 디렉토리를 마운트하게 된다. ‘/etc/vfstab’에는 기존의 파일시스템에 대한 마운트 내용이 들어있으므로 가능하면 손대지 말고 마지막 줄에 추가 내용만 써주도록 하면 된다.

예)
sola3# cd / ; mkdir data sola3# mkdir user1 user2 user3 user4 Sola3# vi /etc/vfstab #device device mount FS fsck mount mount #to mount to fsck point type pass at boot options … … sola1:/data/user1 - /data/user1 nfs - yes - sola1:/data/user2 - /data/user2 nfs - yes - sola1:/data/user3 - /data/user3 nfs - yes - sola1:/data/user4 - /data/user4 nfs - yes - sola3# /etc/init.d/nfs.client start sola3# df –k Filesystem kbytes used avail capacity Mounted on /dev/dsk/c0d0s0 3007086 46789 2900156 2% / /dev/dsk/c0d0s3 3007086 571629 2375316 20% /usr /dev/dsk/c0d0p0:boot 10484 1623 8861 16% /boot /proc 0 0 0 0% /proc fd 0 0 0 0% /dev/fd mnttab 0 0 0 0% /etc/mnttab swap 916616 4 916612 1% /var/run swap 916620 8 916612 1% /tmp /dev/dsk/c0d0s5 3007086 1728631 1218314 59% /opt /dev/dsk/c0d0s6 3007086 8567 2938378 1% /backup /dev/dsk/c0d0s7 4043118 62343 3940344 2% /export/home /dev/dsk/c0d0s4 3007086 23034 2923911 1% /usr/local sola1:/data/user1 3007086 64451 2882494 3% /data/user1 sola1:/data/user2 3007086 64451 2882494 3% /data/user2 sola1:/data/user3 3007086 64451 2882494 3% /data/user3 sola1:/data/user4 3007086 64451 2882494 3% /data/user4

61.84.218.136
2012390 /
2306071 /usr
175471 /var
285152 swap
2054635 /home
1119407 /opt
215575 /tmp

'PHP' 카테고리의 다른 글

bind_9.X_설정  (0) 2005.12.24
리눅스에서 apm 설치 가이드  (0) 2005.12.24
PROFTPD 설치및 설정  (0) 2005.12.24
DHCP 설정하기  (0) 2005.12.24
dns 추가하기  (0) 2005.12.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