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습1. 부여받은 IP가 192.168.1.125이고 신청한 도메인이 linux.co.kr일 때 DNS서버
세팅하기
1. /etc/named.conf파일의 설정 : 이 파일에는 기본적으로 zone파일의 위치하는 디렉토리와 2개의 존파일이 선언되어 있는 데, 기본설정은 건드리지 말고 내용만 추가해야 한다.
zone "linux.co.kr" { // 사용하고자 하는 도메인을 선언한다.
type
master; // 기본 primary로 사용시에는 master로 선언한다.
file
"linux.zone"; // 사용하고자하는 zone파일의 이름을
// 선언한다. 물론 이름은 임의로 선언한다.
// 여기서는 linux.zone이라고
함.
};
zone
"1.168.192.in-addr.arpa" { // 부여받은 IP중 마지막 자리를
// 뺀 나머지를 역으로 선언한다.
type master; // 물론 이 선언은 안해도
무방하나, nslookup명
file "linux.rev"; //령등을 원할히 사용하려면 꼭 선언해야
한다.
// 역시 타입은 maseter이고 zone파일의 이름은
}; //
임의로 linux.rev라 함.
2. /var/named에 위치하는 zone파일의 설정
(1) linux.zone파일의 설정
@ IN SOA ns.linux.co.kr. root.linux.co.kr. (
// 네임서버와 관리자의
메일
2001071500 ;
Serial //을 설정한다. 꼭 도메인명
뒤
28800 ;
Refresh //에 '.'를
표기한다.
14400 ;
Retry
3600000 ;
Expire
86400 ) ;
Minimum
IN
NS ns.linux.co.kr.
linux.co.kr.
IN A
192.168.1.125
IN
MX 10
linux.co.kr.
// 메일서버의 우선순위를 지정
www.linux.co.kr.
IN A
192.168.1.125
(2) linux.rev 파일의 설정 : 설정안해도 무방하나 nslookup등의 명령을 사용하려면 필요하다.
@ IN SOA ns.linux.co.kr.
root.linux.co.kr.
(
2001020201 ;
Serial
28800 ;
Refresh
14400 ;
Retry
3600000 ;
Expire
86400
) ;
Minimum
IN NS
ns.linux.co.kr.
125 IN PTR ns.linux.co.kr.
// 125는 부여받은 IP의 맨 마지막을 표 기한 것이며.
// PTR은 리버스존에서 정의해주는 것으로 IP주소로
// 도메인을 변환 할 때
사용한다.
실습2. 위의 설정에 추가로 linux.com이라는 도메인 추가하기
1. /etc/named.conf의 설정 : 현재 네임서버에서 사용하는 모든 도메인은 이 파일에 꼭 등록을 해야 한다. linux.com이라는 도메인을 사용하려면 당연히 이 파일에서 추가 하여 설정해야 한다.
예1) zone파일을 공유한 경우
zone "linux.co.kr"
{
type
master;
file "linux.zone";
};
zone "1.168.192.in-addr.arpa"
{
type
master;
file "linux.rev"; // 리버스존파일은 한 서버에 여러
// 도메인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
//하나만 만들어 사용한다.
zone "linux.com"
{
type
master;
file
"linux.zone"; // 존파일은 만약 그냥 웹페이지만 공유
// 할 경우에는 그냥 동일한 존파일을
}; //
사용해도 무방하지만, 별도로
//
2차도메인을 부여하고자 할
경우에는
// 별도로 존파일을 생성해야 한다.
현재의
//설정은 그냥 zone파일을 공유한 경우이다.
예2) zone파일을 공유하지 않은 경우 : 각 도메인에 해당하는 2차도메인을 사용할 경우에는 새로운 존파일을 생성해야
한다.
zone "linux.co.kr"
{
type
master;
file "linux.zone";
};
zone "1.168.192.in-addr.arpa"
{
type
master;
file "linux.rev";
};
zone "linux.com" {
type master;
file
"linuxcom.zone";
// 새로운 zone파일을
생성하였다.
};
2. /var/named에 위치하는 zone파일의 설정 : 새로설정하는 도메인인 linux.com 도메인의 존파일을
linuxcom.zone이라고 만들고, 리버스존파일은 하나만 존재해야 하므로, 기존의 리버스존파일인 linux.rev 파일에
linux.com도메인 관련된 세팅만 해주면 된다.
(1)linuxcom.zone의 설정
@ IN SOA ns.linux.com. root.linux.com.
(
// 네임서버를 별도로 구성함.
2001071500 ; Serial
28800 ; Refresh
14400 ; Retry
3600000 ; Expire
86400
) ; Minimum
IN NS ns.linux.com.
linux.com. IN
A
192.168.1.125
IN
MX 10
linux.com.
// 메일의 우선순위지정
www.linux.com. IN A 192.168.1.125
(2)linux.rev파일의 설정
@ IN SOA ns.linux.co.kr.
root.linux.co.kr.
(
2001020201 ;
Serial
28800 ;
Refresh
14400 ;
Retry
3600000 ;
Expire
86400 ) ; Minimum
IN NS
ns.linux.co.kr.
125
IN PTR
ns.linux.co.kr.
125
IN PTR
ns.linux.com.
// 기존의 설정에 이 부분만 추가한다.
3. apache의 설정 : 웹서비스와 연계되므로 아파치의 환경파일인 httpd.conf에서도 설정해줘야 한다.
NameVirtualHost
192.168.1.125
// 이 부분에 사용하는 IP를 적는다.
------------------------------------
<VirtualHost
192.168.1.125>
ServerAdmin admin@linux.com
DocumentRoot /usr/local/apache/htdocs
ServerName www.linux.com
ServerAlias linux.com
www.linux.com
// 브라우저상에서 linux.com과
www.linux.
//com를 입력했을
경우에 웹페이지가 열리도
//록 설정.
만약 2차도메인이 전부 이 동일
//한
웹페이지가 열리도록 하려면
*.linux.
//com이라고 설정하면
된다.
ErrorLog
logs/linux-error-log
CustomLog logs/linux-access_log common
</VirtualHost>
(실습3) mybestone.com이라는 도메인으로 서버가 한 대 운영중이다. linux.mybestone.com 이라는
서브도메인(2차도메인) 을 부여하여 이 서버가 독자적인 IP를 가지고 있고, 웹서버 및 메일서버도 독자적으로 운영하려고 한다. 또한 이 서버의
서브도메인(3차도메인)도 가능하게 세팅하려고 한다. 설정하도록 한다.
(조건)
1. mybestone.com (주
도메인)
IP 주소 :
192.168.0.3
zone 파일 :
mybestone.zone
Reverse zone파일: mybestone.rev
2.
linux.mybestone.com (서브 도메인)
IP
주소 :
192.168.0.4
(설정)
(1) 주 네임서버(ns.mybestone.com)의 설정
1)
/var/named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mybestone.zone파일의
설정 추가
linux
IN NS
ns.linux
ns.linux
IN A
192.168.0.4
=> 첫번째줄의 설정을 풀어쓰면 다음과 같다.
linux.mybestone.com. IN
NS ns.linux.mybestone.com.
즉 linux.mybestone.com이라는 도메인의 네임서버를
ns.linux.mybestone.com이라는 것으로 정한다는 뜻이다.
두번째줄의 설정을 풀어쓰면 다음과 같다.
ns.linux.mybestone.com.
IN A
192.168.0.4
즉, ns.linux.mybestone.com의 IP주소는 192.168.0.4라는 뜻이 된다.
(참고) 단순히 2차 도메인 사용만
지정하려면
linux
IN A
192.168.0.4
라고 한줄만 지정해도
된다.
2) /var/named 디렉토리에 존재하는 mybestone.rev파일의 설정 추가
linux
IN NS
ns.linux.mybestone.com.
4
IN NS
ns.linux.mybestone.com.
(2) 서브 네임서버(ns.linux.mybestone.com)의 설정
1) /etc/named.conf파일의 설정
zone "linux.mybestone.com" { // 위임받은
2차도메인 설정
type
master;
file
"linux.mybestone.zone";
};
zone
"linux.0.168.192.in-addr.arpa" { // 위임받은 2차도메인의 역존
설정법
type
master;
file "linux.mybestone.rev";
};
2) linux.mybestone.zone파일의 설정
@
IN SOA ns.linux.mybestone.com.
root.linux.mybestone.com.
(
2001071500 ;
Serial
28800 ;
Refresh
14400 ;
Retry
3600000 ;
Expire
86400 ) ;
Minimum
IN NS
ns.linux.mybestone.com.
linux.mybestone.com.
IN A
192.168.0.4
IN MX
10 linux.mybestone.com.
www.linux.mybestone.com.
IN A
192.168.0.4
3) linux.mybestone.rev 파일의 설정
@
IN SOA
ns.linux.mybestone.com. root.linux.mybestone.com.
(
2001020201 ;
Serial
28800 ;
Refresh
14400 ;
Retry
3600000 ;
Expire
86400 ) ;
Minimum
IN NS
ns.linux.mybestone.com.
4
IN PTR
ns.linux.mybestone.com.
(3) httpd.conf파일에 설정한다.
<VirtualHost 192.168.0.4>
ServerAdmin
root@linux.mybestone.com
ServerName linux.mybesone.com.com
DocumentRoot
/usr/local/apache/html
ErrorLog
logs/linux.mybestone.com-error_log
CustomLog
logs/linux.mybestone.com-access_log common
</VirtualHost>
[출처] : cafe.daum.net/oranix 정성재 강사님의 리눅스 특별강좌 중...
'PHP' 카테고리의 다른 글
Ports for Internet Services (0) | 2005.12.24 |
---|---|
사설 ip address 대역 (0) | 2005.12.24 |
네트워크의 연결진단 방법 (0) | 2005.12.24 |
리눅스 메일서버 구축 (0) | 2005.12.24 |
서버점검사항 (0) | 2005.12.24 |